정말 많은 반례가 있었던 문제...
정수일 때는 무조건 유한소수!!
그리고 최대공약수 구하는 건 정말 외워둬야겠다 ㅎㅎ 다른 로직 짰다가 뒤엉키고 시간 복잡도 올라가고....
그리고 짧은 로직으로 구현할 수 있다면 따로 함수를 거창하게 파는 것은 지양해야 겠다고 생각했다.
문제
더보기
- 유한소수 판별하기
문제 설명
제한사항
입출력 예abresult
입출력 예 설명
Hint
소수점 아래 숫자가 계속되지 않고 유한개인 소수를 유한소수라고 합니다. 분수를 소수로 고칠 때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인지 판별하려고 합니다. 유한소수가 되기 위한 분수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약분수로 나타내었을 때, 분모의 소인수가 2와 5만 존재해야 합니다.
두 정수 a와 b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a/b가 유한소수이면 1을, 무한소수라면 2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 b는 정수
- 0 < a ≤ 1,000
- 0 < b ≤ 1,000
입출력 예abresult
7 | 20 | 1 |
11 | 22 | 1 |
12 | 21 | 2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분수 7/20은 기약분수 입니다. 분모 20의 소인수가 2, 5 이기 때문에 유한소수입니다. 따라서 1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분수 11/22는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1/2 입니다. 분모 2는 소인수가 2 뿐이기 때문에 유한소수 입니다. 따라서 1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3
- 분수 12/21는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4/7 입니다. 분모 7은 소인수가 7 이므로 무한소수입니다. 따라서 2를 return합니다.
Hint
- 분자와 분모의 최대공약수로 약분하면 기약분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정수도 유한소수로 분류합니다.
function solution(a, b) {
// 기약분수 만들기
let gcd = (a,b) => b? gcd(b, a%b) : a;
b = b / gcd(a,b);
// 분모의 소인수가 2와 5만 존재하는 지 확인하기
while (b !== 1){
if (b%2 === 0){
b /= 2;
} else if (b%5 === 0){
b /= 5;
} else {
return 2;
}
}
return 1;
}
'Algorithm >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JS] 문자열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아스키코드 변환) (0) | 2022.12.13 |
---|---|
[프로그래머스 JS] 겹치는 선분의 길이 (0) | 2022.12.13 |
[프로그래머스 JS] 옹알이 (1) (1) | 2022.12.13 |
[프로그래머스 JS] 연속된 수의 합 (0) | 2022.12.13 |
[프로그래머스 JS] 치킨 쿠폰 (0) | 2022.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