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66 [구현] 상하좌우 (파이썬) n = int(input()) a = input().split() x, y = 1, 1 #공간을 벗어나는 움직임은 무시 i = 0 while i < len(a): if a[i] == 'L': #왼쪽으로 한 칸 이동 if y != 1: y -= 1 elif a[i] == 'R':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if y != n: y += 1 elif a[i] == 'U': #위로 한 칸 이동 if x != 1: x -= 1 elif a[i] == 'D': #아래로 한 칸 이동 if x != n: x += 1 print(a[i],x, y) i += 1 if i == len(a): break print(x, y) 2022. 8. 4. [DEVIEW2021] 데이터 시각화의 꽃 APM, FE 개발 이야기 1.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보니, 수집한 데이터도 중요하지만 유저가 이를 잘 알아볼 수 있게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함 따라서, APM FE 개발자의 주요 업무는 '데이터 시각화' ex) scatter chart, server map, inspector chart 등 모니터링을 위한 다양한 시각화 컴포넌트 제공 2. Focus : APM FE 개발자가 신경써야 할 것? 목표 : 사용자에게 좋은 모니터링 환경을 제공하기 - 성능 : 많은 데이터에도 원활한 동작이 가능해야 함 - 직관성 : 사용자가 우리가 제공한 지표들을 통해 그 의미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함 3. 고민과 해결 Scatter Char.. 2022. 8. 4. [HARDWARE 014] 프로세서는 무조건 빠른 게 좋을까? 프로세서는 인출, 해석, 실행 사이클을 계속 반복 수행한다. 수십 개에서 수백 개의 명령어가 있고, 명령어와 데이터는 여러 개의 메모리 위치를 차지한다. 컴퓨터 아키텍처 프로세서와 컴퓨터 나머지 부분 간의 연결 방식 설계를 다루는 분야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명령어 집합 (instruction set)'이다. 명령어 집합 : 프로세서가 제공하는 명령어 레퍼토리 현대 컴퓨터 아키텍처는 캐시(cache)라는 고속 메모리를 몇 개 사용한다. 캐시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에 있고, 최근 사용된 명령어와 데이터를 담고 있다. 캐시에서 찾을 수 있는 정보에 접근하는 편이 메모리에서 정보가 오기를 기다리는 것보다 빠르다. 파이프라이닝(pipelining) : 인출과 실행 단계가 겹치도록 프로세서를 설계해서 명령어 .. 2022. 8. 4. [HARDWARE 012] 프로세서와 계산기의 다른 점 프로세서 컴퓨터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 수행할 수 있는 기본 연산들의 레퍼토리가 있다 메모리에서 연산을 수행할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연산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의 나머지 부분을 제어한다 프로세서는 단순하지만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즉, (계산기와는 다르게) 사람의 개입 없이도 작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현재 처리 중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에 무슨 일을 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즉, 기계다. 당연한 소리) 1일 1로그 100일 완성 IT 지식 복잡한 IT 세상을 선명하게 읽는 디지털 문해력 기르기 챌린지IT 지식은 분명 복잡하지만 인생처럼 혼잡하지는 않다.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면 막연한 불안감에서 벗어나 디지털 지구가 제시하는 book.naver.com 2022. 8. 4.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