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끄적끄적20

[HARDWARE 016] 슈퍼컴퓨터부터 사물인터넷까지 슈퍼컴퓨터 (supercomputer) 과학기술 연산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고속 컴퓨터로, 보통 많은 수의 프로세서와 대량의 메모리를 사용한다. 사용되는 프로세서 자체도 특정 종류의 데이터를 훨씬 빨리 처리하는 명령어로 구성되어 있다. 요즘의 슈퍼컴퓨터는 전용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대신, 속도는 빨라도 기본적으로는 평범한 프로세서로 구성된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구현된다. 슈퍼컴퓨터의 속도는 플롭스(flops, 초당 수행할 수 있는 부동 소수점 연산 횟수)로 측정된다.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범용 CPU보다 그래픽 관련 계산을 훨씬 빠르게 수행하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이다. 일반 프로세서가 특정한 종류의 작업을 빠르게 처리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간단한 산술 연산을 병.. 2022. 8. 18.
[HARDWARE 015] 캐시가 뭔가요? 프로세서에서 캐시는 용량이 작고 속도가 빠른 메모리로, 용량이 더 크지만 훨씬 느린 주 기억 장치에 매번 접근하는 것을 피하고자 최근에 사용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인 프로세서에는 캐시가 2~3개 있는데, 흔히 L1, L2, L3 레벨이라고 부르고 뒤로 갈수록 용량은 킂만 속도는 더 느리다. 캐싱이 효과적인 이유는 최근에 사용된 정보가 곧 다시 이용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캐시에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 = 메모리 작업을 기다리는 데 시간을 덜 쓴다는 것 캐싱은 성능을 크게 높이는 경우를 제외하면 사용자에게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캐싱은 우리가 뭔가를 사용하고 있고 그것을 곧 다시 쓸 가능성이 있거나 근처에 있는 뭔가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을 때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는 훨씬 더.. 2022. 8. 15.
[DEVIEW2021] 데이터 시각화의 꽃 APM, FE 개발 이야기 1.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보니, 수집한 데이터도 중요하지만 유저가 이를 잘 알아볼 수 있게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함 따라서, APM FE 개발자의 주요 업무는 '데이터 시각화' ex) scatter chart, server map, inspector chart 등 모니터링을 위한 다양한 시각화 컴포넌트 제공 2. Focus : APM FE 개발자가 신경써야 할 것? 목표 : 사용자에게 좋은 모니터링 환경을 제공하기 - 성능 : 많은 데이터에도 원활한 동작이 가능해야 함 - 직관성 : 사용자가 우리가 제공한 지표들을 통해 그 의미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함 3. 고민과 해결 Scatter Char.. 2022. 8. 4.
[HARDWARE 014] 프로세서는 무조건 빠른 게 좋을까? 프로세서는 인출, 해석, 실행 사이클을 계속 반복 수행한다. 수십 개에서 수백 개의 명령어가 있고, 명령어와 데이터는 여러 개의 메모리 위치를 차지한다. 컴퓨터 아키텍처 프로세서와 컴퓨터 나머지 부분 간의 연결 방식 설계를 다루는 분야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명령어 집합 (instruction set)'이다. 명령어 집합 : 프로세서가 제공하는 명령어 레퍼토리 현대 컴퓨터 아키텍처는 캐시(cache)라는 고속 메모리를 몇 개 사용한다. 캐시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에 있고, 최근 사용된 명령어와 데이터를 담고 있다. 캐시에서 찾을 수 있는 정보에 접근하는 편이 메모리에서 정보가 오기를 기다리는 것보다 빠르다. 파이프라이닝(pipelining) : 인출과 실행 단계가 겹치도록 프로세서를 설계해서 명령어 .. 2022. 8. 4.